Responsive Advertisement
경제톡
경제, 투자, 건강한 재무 관리까지, 삶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공유합니다.

전세사기특별법 연장! 2025년 달라지는 지원 내용 한눈에 보기

2025년 전세사기특별법이 2년 연장됩니다. 신청 기한, 지원 범위, 금리 혜택까지 달라진 핵심 내용을 쉽게 정리했습니다.

전세사기 특별법 연장 내용 안내

2025년에도 전세사기, 남의 일 아닙니다.

전세사기, 드라마에서만 벌어지는 얘기 같았죠? 그런데 2025년에도 여전히 뉴스엔 “또 전세사기”, “보증금 떼였다”는 소식이 보입니다.

다행히 정부가 특별법2년 더 연장하면서 지원 범위와 내용도 대폭 개선됐습니다. 이번엔 똑소리나게 챙겨보자구요.



2025년, 뭐가 어떻게 달라졌을까?

유효기간이 늘어났습니다.

기존엔 2025년 5월 31일까지만 신청할 수 있었는데요, 이제는 2027년 5월 31일까지 연장됐습니다. 피해자 결정 신청도, 그에 따른 주거 지원도 모두 2년 더 가능하단 얘기죠.

단! 중요한 포인트가 하나 있습니다.

2025년 6월 1일 이후에 체결한 새 전세계약은 해당 안 됩니다. 이건 정말 중요하니, 계약 날짜 꼼꼼히 확인하세요.


LH가 집을 더 많이 사준다? 위법 건물도 가능?!

기존에는 정상 건물만 LH가 매입했는데요. 2025년부터는 위반건축물이나 신탁사기주택안전성 심의만 통과되면 매입 가능! 무너질 위험 없고, 불났을 때 대피 가능하면 OK란 얘기입니다.

그리고, LH는 2025년 목표 물량을 7,500호로 대폭 늘렸고, 전담 조직도 신설했어요. 이제 피해자들 집 구하는 데 숨 좀 돌릴 수 있겠죠?


공공임대 최대 ‘20년’ 가능해졌습니다

가족이 웃으며 공공임대 아파트 앞에 서 있는 모습, 집 앞에 “20년 장기거주 가능” 배너

네, 스무 살이면 마흔까지 살 수 있어요. 기존에는 10년만 살 수 있었던 공공임대, 2025년부터는 최대 20년까지 선택 가능해졌습니다. 단, 중간에 자립해서 집 사겠다면 조기 해지 OK!

이건 진짜 대박입니다. 20년이면 웬만한 직장생활 전반이 커버되는 수준이니까요. 전세불안에 떨 필요 없이, 장기적으로 계획 세울 수 있다는 게 핵심입니다.


‘LH가 대신 낙찰받아 경매 차익까지 나눠준다’

이건 조금 복잡한데, 쉽게 풀어볼게요. 전세사기로 내 집이 경매 나가게 생겼다고 치죠. 예전에는 LH가 낙찰받은 뒤 차익을 정산해줬습니다.

이젠 피해자가 LH에 우선매수권을 양도하면,

  • LH가 직접 경매에 참여
  • 낙찰되면 채무 정리 후 차익을 바로 현금으로 돌려줌
  • 그 집은 다시 공공임대로 전환

즉, 선(先)구제-후(後)회수 체계를 확실히 잡은 겁니다. 한마디로 “먼저 살려주고, 그다음 돈 계산하자”는 식이죠. 신속하고 실질적인 구제에 더 가까워졌습니다.


전세대출 갈아타기, 피해자 전용 금리로 가능!

은행 창구에서 상담받는 시민과 친절한 은행원, ‘1.2% 저금리 대환’ 문구가 있는 전광판 또는 안내서

기존 전세대출 쓰고 있어도 걱정 마세요. 

기존 버팀목 전세대출(2.1~2.9%)에서 피해자 전용(1.2~2.7%)으로 갈아타기 허용! 게다가 경락잔금대출도 같은 금리 적용입니다.

최대 20년까지 장기 분할상환 가능하니 한숨 돌릴 여지가 생긴 셈이죠. 대환대출, 겁낼 필요 없습니다. 은행창구나 주택금융공사 앱에서 같은 날 처리되니 실행도 간단해요.



법률·심리 지원도 계속됩니다

변호사와 피해자가 상담하는 따뜻한 장면, 심리상담 중 위로받는 사람

전세사기 피해는 몸보다 마음이 더 무너지는 일이죠. 2025년 개정안은 법률 구조와 심리 지원도 자동 연장했습니다.

  • 변호사 수임료 250만 원 한도
  • 정신과 치료비 2년 지원
  • 상속재산 정리·파산 관련 상담도 포함

이건 진짜 필요합니다. 피해 당해봐야 아는 절박함, 이제는 혼자 끙끙 앓지 마세요.


집주인 동의없이 위험 정보 조회 OK

예전에는 ‘임대인 동의’ 없이는 집의 위험 정보를 볼 수 없었죠. 이제는 바뀌었습니다.

집주인 동의 없이 안심전세App에서 바로 조회 가능해요.

  • 보증사고 이력
  • 채무 상태
  • 보증가입금지 여부

QR 인증만 하면 즉시 열람 가능하니, 계약 전 꼭 해보세요. “혹시 몰라 한번 찍어봤는데, 진짜 큰일 날 뻔했어요” 하는 후기들, 요즘 진짜 많습니다.

안심전세 APP 다운로드→


자주 묻는 질문 (Q&A)

Q1. 2025년 6월 1일 이후에 전세계약 했는데, 사기를 당했어요.

A. 아쉽지만 특별법 대상이 아닙니다. HUG 반환보증 가입, 안심전세App 위험도 점수 확인 등 사전 예방이 중요합니다.

Q2. 위반건축물인데 LH가 매입해줄까요?

A. 구조나 화재 안전성만 확보된다면 가능성 있습니다. 지자체 건축위원회 심의 후 위반사항이 해소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매입됩니다.

Q3. 공공임대 20년 중 집을 사게 되면 중도 퇴거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최소 2년만 거주하면 조기 퇴거 가능하며, 남은 기간에 따른 임대료 인상은 없습니다.


2025년, 달라진 특별법은 기회다

이번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은 말 그대로 ‘지원의 폭’과 ‘깊이’가 동시에 확장됐습니다. 하지만 2025년 6월 이후 계약자는 보호받지 못합니다.

그러니 지금, 꼭 확인하세요.

  • 계약 날짜
  • 안심전세 App 활용
  • LH 매입 대상 여부
  • 전세가율과 등기부 상태

이 모든 걸 체크하는 게 결국 내 돈, 내 집, 내 미래를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오늘 읽은 정보, 앞으로 계약할 집에서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기를 바랍니다.


관련 자료 및 참고 사이트

이 글이 유용하셨나요? 아래 링크를 복사하여 공유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