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onsive Advertisement
경제톡
경제, 투자, 건강한 재무 관리까지, 삶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공유합니다.

고향사랑기부제란? 기부 방법부터 고향사랑e음 활용법까지

고향사랑기부제의 개념부터 기부 방법, 고향사랑e음 활용법, 세액공제와 답례품 정보까지 확인하세요!
고향사랑기부제 정의 활용법 안내 문구

기부 하면 왠지 좋은 일 하는 기분은 들지만, 지갑은 홀쭉해지고 현실적인 메리트는 잘 와닿지 않으셨죠?

그런데요, 고향사랑기부제는 기부도 하고 혜택도 받는 일석이조의 제도입니다. 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 지자체 응원하면서 세액공제 받고, 지역 특산품까지 챙길 수 있어요.

저도 처음엔 기부로 뭘 얼마나 받겠어 싶었거든요. 그런데 실제로 해보니까 기부라기보단 지역에 투자하고 나에게 리워드 받는 느낌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고향사랑기부제가 도대체 뭔지, 어떻게 참여하고 어떤 꿀팁이 숨어있는지 정리해드릴게요.



고향사랑기부제란?

쉽게 말하면 자기 주소지 외의 지자체에 기부하고, 답례품과 세액공제를 받는 제도예요. 예를 들어 충남 천안에 사는 분이라면 서울이나 전북, 부산 등에 기부할 수 있고요, 기부액의 최대 30%에 해당하는 답례품 + 연말 세액공제까지 쏠쏠하게 따라옵니다.

  • 기부 가능 대상
    개인 (법인이나 단체는 안 됩니다!)
    주민등록상 주소지 의 전국 지자체
  • 기부 한도
    2025년부터 연간 최대 2,000만 원까지 확대!
    소액 기부부터 큰 금액까지, 여유 따라 유연하게 가능

기부하면 뭐가 좋은데요?

세액공제

  • 10만 원까지는 100% 공제!
  • 그 이상은 초과 금액의 16.5% 세액공제
  • 기부자 본인에게만 적용되니까 가족끼리 나눠서 해도 굿

답례품

  • 지역 특산품부터 온누리상품권, 지역 상품권 등 알짜템 많습니다
  • 기부금액의 30% 한도 내에서 선택 가능
  • 예: 10만 원 기부 시 → 3만 원 상당의 지역 특산물 선택 가능

기부는 어떻게 하냐고요?

저는 개인적으로 온라인이 편해서 고향사랑e음 사이트를 이용했는데요, 오프라인도 가능합니다.

온라인 기부 (고향사랑e음)

회원가입만 하면 끝이에요. 인증 수단도 다양해서 카톡, 휴대폰, 금융인증서 뭐든 OK.
기부는 이렇게 해요.

  1. 로그인 → “자치단체에 기부하기” 클릭
  2. 기부할 지자체 선택
  3. 기부 금액 입력 + 답례품 여부 선택
  4. 결제 (신용카드, 계좌이체, 간편결제)
  5. ‘마이페이지’에서 답례품 신청

💡 오프라인에서 기부하더라도 답례품은 고향사랑e음 사이트에서 따로 신청해야 해요!

고향사랑e음 사이트 바로가기→


오프라인 기부 (NH농협)

  • 전국 농협 지점 아무 데나 가서 가능
  • 신분증 챙기고 기탁서 작성 후 현금 납부하면 OK
  • 오프라인 기부 후에도 e음 사이트에서 답례품 신청은 필수

기부금, 어디에 쓰이나요?

기부금 그냥 막 쓰이는 거 아니고요, 지역의 실제 필요한 곳에 쓰입니다.

  • 사회적 약자 지원
  • 청소년 복지
  • 문화·예술·보건 증진
  • 지역 공동체 사업 등

당장 내 혜택도 받고, 지역엔 기회도 주는 기부의 선순환, 꽨 괜찮습니다.


몇 가지 유의할 점!

  • 기부는 강요할 수 없습니다. 누가 억지로 시키면 불법이에요.
  • 답례품으로 현금, 귀금속, 상품권 등은 제공 불가
  • 기부금 반환은 단순 변심으로는 불가
  • 연말정산 시 자동으로 국세청에 반영되니 따로 챙기실 필요 없어요.

어디에 물어보면 되냐고요?

  • 고향사랑e음 상담센터: 1522-2431
  • 또는 각 지자체 고향사랑 담당 부서

마무리하며

기부라고 해서 거창하게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5만 원, 10만 원부터 시작해도 충분히 의미 있고 실속도 있어요. 내 고향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이젠 따뜻한 마음도 보내고, 고마운 답례도 받으세요.

더 궁금하신 분은 문의처 활용하시고요. 올해부턴 진짜 기부 한번 해보자 싶으신 분들, 지금이 그 시작점입니다 :)

이 글이 유용하셨나요? 아래 링크를 복사하여 공유해 보세요!